낚사줄묶는법
[스크랩] 조피볼락! 우럭이란 넘의 생태적 특성
송골ㅁ
2006. 9. 8. 20:54
179. 조피볼락 Sebastes pachycephalus pachycephalus Temminck et Schlegel
-
양볼락목 Order Scorpaeniformes
- 양볼락과 Family Scorpaenidae
-
방언 : 조피(강릉), 똥새기(통영), 우럭
영명 : Jacopever, Schlegel's blac rockfish
일명 : Kurosoi
형태적 특징
-
- 몸 빛깔은 짙은 회갈색으로 몸옆에는 분명치 않은 흑갈색 가로띠가 있으며, 눈에서 뒷쪽으로 비스듬하게 2개의 흑색띠가 있다.
- 몸은 긴 타원형으로 측편되어 있으며, 꼬리지느러미 뒷끝은 수직형이거나 약간 볼록하다.
- 아래턱이 윗턱보다 약간 돌출되어 있으며, 양턱에는 융털모양의 이빨띠가 있다.
- 두 눈 사이는 넓고 편평하다.
- 눈 앞 안전골 아래에 단단한 3개의 가시가 있다.
- 뒷지느러미 2번째 가시는 두껍고 커서 첫번째 가시보다 약 2배이며, 3번째 가시는 가늘지만 2번째 가시보다는 약간 길다.
- 가슴지느러미 뒷끝은 항문까지 도달하며, 꼬리지느러미 아래, 위 양 끝부분은 희다.
- 윗턱 뒷부분과 아래턱을 제외하고는 모두 빗비늘로 덮여 있다.
- D1.XIII, 11~13; A.III, 6~8; P1.17~18; P2.I, 5; LL.39~52; Vert.26.
생태적 특성
- 분 포 : 우리나라 동.서.남해, 일본 북해도 이남, 중국북부 연안, 발해, 황해.
- 서식장 : 연안 얕은 바다의 암초지대에 주로 서식한다.
- 회 유 : 서해안에서는 수온이 내려가는 가을~겨울에 걸쳐 발해나 황해북부 해역에서 남하하기 시작하여 1월에는 북위 35도선 즉, 흑산도 서방해역에서 월동하고, 봄이 되면 북상 또는 연안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추정된다.
- 산 란 : 새끼를 낳는 난태성 어종으로서 출산시기는 4~6월, 수온이 15~16도C 전후되는 4~6월경에 연안의 암초지대에서 전장 7mm 전후되는 새끼를 낳는다. 포란수는 전장 33~37cm(3년생)은 2만~6만개, 42~45cm(6년생)은 약 10만~19만개, 58cm는 약 41만개.
- 성 장 : 부화 후 만2년이면 전장 23.5cm, 3년이면 31cm, 4년이면 35cm, 5년이면 38cm, 6년이면 40~41cm로 자라며, 몸길이는 약 60cm.
- 식 성 : 주로 어류를 잡아 먹으며, 그외 새우, 게류 등 갑각류와 오징어류 등도 포식한다.
- 기 타 : 밤에는 흩어져서 중층이나 표층으로 떠 올라 그다지 활동을 하지 않으나, 낮에는 가라 앉아 무리를 지어 활발히 활동하고, 특히 아침, 저녁에 왕성한 활동을 보인다.
[ 홈 페이지 ] [ 178. 개볼락 ] [ 어류 ] [ 180. 불볼락 ]
출처 : 서울선상낚시클럽
글쓴이 : 산장 원글보기
메모 :